청년도약계좌 신청 가입 방법 (feat. 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
-10년 만기적금으로 만기시 1억원을 마련할 수 있는 적금
-월 70만원 한도 내에서 저축할 수 있음
-연리 3.5% 이자율
-가입자의 소득에 따라 월 10~40만원을 정부지원금 으로 저축
-근로'사업소득이 있는 만19~34세 청년을 대상으로 함
-대상자의 급여 상한 기준은 없음 (얼마를 벌든 상관이 없다)
-단, 연봉 4800만원 이상자는 비과세와 소득공제 혜택만 있음
중도인출, 재가입 허용조건
-생애 최고 주택구입시
-장기간 실직하더나 질병 등으로 장기간 휴직할 시
-재해피해를 입었을 시
연소득 | 최대 월 납입액 | 정부 지원금 |
2400만원 이하 | 30만원 | 최대 40만원 |
2400 초과 3600만원 이하 | 50만원 | 최대 20만원 |
3600만원 초과 | 60만원 | 최대 10만원 |
4800만원 초과 | 70만원 | 지원금 없음 비과세, 소득공제 혜택있음 |
최대 6400만원 혜택
얼마전 청년희망적금 이라는 정부의 청년정부지원 적금이 있었는데요,
이 적금을 가입 했더라도 청년도약계좌로 변경 가능하도록 하겠다는 정부 입장이 있습니다.
그런데, 청년희망적금의 수요예측이 너무나 잘못되어 은행의 이자부담이 1조원 정도 늘었다고 하는데
청년희망적금보다 훨씬 더 많은 혜택을 주겠다는
청년도약계좌가 현실성이 있느냐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자부담이 1조원 보다 더 늘어나 부담이 너무 커지는것 아니냐는 은행의 입장이 있는데요.
현재 은행대출 이자율은 가파르게 오르고 있고 예금이자는 폭포수 처럼 떨어져
은행의 예대마진율이 굉장히 좋습니다.
4대 금융지주의 지난해 총 순이익이 14조원을 돌파하며 사상 최고치의 영업이익 20조를 전망하는 형국이라
1년에 1조도 아니고 10년에 1조 부담이 어려울 정도의 상태는 아니라고 판단되고 있습니다.
은행의 이자부담 으로만 지원금을 채워주는것도 아니고 정부의 지원금도 같이 지원이 되어
청년도약계좌가 운영될것 입니다.
현재로선 형평성의 문제도 제기되고 견고하지 않은 정부지원 정책으로 지목되고 있어
확실하게 도입되어 나온것은 아니지만 계속 이슈가 되고있으며
아무일도 없었던 것 처럼 엎어버리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정책이 실행이 되면 가지고 있는 문제점들도 서서히 풀어가며 진행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가입 대상자에 해당하는 분들은 좋은 정부지원 정책 꼭 확인하고 지원해
좋은 혜택 받으시길 바랍니다.
'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 양성판정 자가격리 기간 (0) | 2022.04.01 |
---|---|
코로나 양성 판정받으면 이렇게 하세요 (검사비용) (0) | 2022.03.30 |
근로복지공단 대출 신청하기 (대상 및 조건) (0) | 2022.03.23 |
주유할인카드 추천! (제값에넣지마세요) (0) | 2022.03.21 |
네스프레소 버츄오 커피머신 할인 프로모션 지금 진행중! (0) | 2022.02.10 |
댓글